본문으로 바로가기
  1. Home
  2. 생활탐구/볼거리 즐기기
  3. 대조영, 어디까지가 실존과 허구인가.

대조영, 어디까지가 실존과 허구인가.

· 댓글개 · 라라윈
요즘들어 대조영이 눈시울을 적시게 하고 있다.
발해건국이 코앞으로 다가옴으로 인해 산고에 가까운 고통들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대조영의 중추인물들이 하나씩 죽고, 대의를 위해 죽어가는 그 마음들에 더욱 눈물이 쏟아지기 때문이다. 벌써 128회, 매주 2편씩 하였으니 2년이나 되는 긴 시간동안 한 드라마가 긴 호흡으로 하지만 탄탄한 이야기로 전달되고 있다.

처음 발해라는 나라는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이라는 노래를 통해 '발해 대조영'을 알았고, 서태지의 '발해를 꿈꾸며' 를 통해 더욱 친숙해진 국가였다. 국사책에서도 그리 많은 페이지를 차지하지 않고 넘어갔기에 발해의 건국이나 발해의 역사에 대해서는 상당히 무지하였다.
중국의 역사왜곡이나 여러 문제로 발해사가 부각되고 있고, 드라마의 인기로 역사적 진위문제가 거론되니 이 드라마가 어디까지가 실제인가가 상당히 궁금해 졌다.


실제 역사책을 찾아보니, 고구려가 망하고 대조영이 영주에 있다가 걸사비우와 힘을 합쳐 당에 대항하다가 천문령에서 당과의 싸움에 승리하고 동모산 자락에 건국을 한다고 되어 있었다.

668년 고구려가 망한 후, 고구려 유민들은 산산이 흩어지게 되었다. 당()은 고구려 유민 2만 8000여 가호를 중국 땅으로 강제 이주시켰는데, 이때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뒤의 고왕)도 그의 아버지 대중상(걸걸중상())과 함께 요서지방의 영주(:조양)로 옮겼다.
당시 영주는 당이 북동방의 이민족을 제어하기 위한 전진기지로 운영한 전략도시였다. 그러던 중 마침 거란족 출신 이진충()이  측천무후()가 통치하던 당()에 반기를 들고 반란을 일으켰다(696). 결국 1년여 만에 진압이 되긴 하였으나, 당은 돌궐의 힘을 빌어 난을 진압하는 등 상당히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다.
이러한 혼란기를 틈타 고구려 출신인 대조영()이 유민들을 규합하고 말갈 세력(걸사비우 )과 손을 잡고 당에 반기를 들었다. 당나라군의 추격으로 걸사비우가 죽자 말갈족까지 흡수하여 세를 불리면서 계속 동쪽으로 이동하였다. 대조영은 공격해오는 이해고()의 당군을 천문령()싸움에서 격파하고 당의 세력권에서 벗어나 남만주 지역에 위치한 동모산(, 지금의 육정산/, 길림성 돈화성 부근)에 정착하여 성을 쌓았다. 그리고 새로운 나라를 개국하고, 국호를 진(), 연호를 천통()이라 하였다.

발해(진)는 대조영이 국가를 세웠으나, 만주지방에 혼거하던 말갈족도 함께 포용하여, 일반적으로 고구려 유족이 주로 상류 지배층을 형성하였고, 말갈족이 하류층을 형성하였다. 대조영은 북서쪽의 거란이나 돌궐족의 성장으로 요서지방이 막혀 당의 방해를 받지 않고 발해를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었다. 당도 결국 진국의 자립을 인정하고 외교의 대상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당은 713년에 발해에 사신을 파견하여 대조영을 발해군왕()으로 호칭(봉)하여, 그 후부터 발해국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대조영의 드라마 속에 등장하는 여러 인물들을 두고 실존인물이나 허구냐 하는 많은 의견이 있고, 상당히 궁금했다. 확실히 확인되는 바는 설인귀, 이해고, 걸사비우등의 족장이나 군의 수장을 맡았던 인물들이다. 그러나, 흑수돌, 계필사문 등은 확인이 어렵다. 일부에서는 허구의 인물이라는 설도 있고, 발해사가 자료가 부족하고 우리에게 전해지지 않은 부분도 많은데다 중국사에서 기록하는 책들도 많이 있어 그들이 실존하였다고 하는 입장들도 있다.

확인된 몇 몇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숙영은 조선상고사에서 보장왕의 조카로 분명히 밝히고 있고 발해의 첫 황후로 대문예의 어머니가 맞다고 한다.
미모사도 기록이 확실히 남아있다고 하며, 설계두도 실존임물로 여러 설이 있다고 한다. 극중에서는 이해고의 심복으로 나오는데, 할아버지가 신라인으로 후에 이해고가 설계두를 버리고 대조영이 설계두를 거두어들여 발해를 개국하고 세작들을 키우는 첩보전의 1인자 장군이 된다는 설도 있다고 한다.확실한 허구의 인물은 초린과 금란이라고 한다.
초린은 대조영과 이해고를 대립시키며 극 초반과 지금의 다양한 구도를 이끌어 가는 중심인물이다. 아마도 초린이 없었다면 대조영의 사랑과 인연에 대한 이야기는 절반으로 줄어들어 드라마의 극적인 재미는 상당히 떨어졌을 것 같다. 금란의 경우도 마찬가지. 실제 걸사비우에게는 여걸 아내가 있었다고 하니 조금은 걸사비우의 이상형(?)도 반영이 된 셈이다.
 아마도 발해사에 대한 자료가 적은데다가 건국과정의 내용에 역사적인 내용에서는 여성에 대한 기록은 적기 때문에 이렇게 여성 인물들을 더 만들어 내지 않았나 싶은 생각도 든다. 또는 영화 <궁녀>의 경우도 숙종시절의 장희빈에 대한 야사를 바탕으로 만들어 졌다고 하는데, 그와 같이 발해사의 야사와 같은 부분을 참작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전해지는 말로는 극이 136회 정도면 끝이 날 것이라 하니 이제 10여회를 남겨두고 있는 셈이다. 이해고와 초린이 동반 자살을 하고, 검이가 2대왕이 된다는 등, 다양한 추측들이 있는데, 극의 결말은 작가만이 알 일 인것 같다. 우리 모두가 알고 있는 확실한 결말은 발해가 건국되고 대조영이 왕이 된다는 것 뿐 인 것 같다.

💬 댓글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