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CK, AMY, ANGELINA, JULIE, JULIA........
저도 라라가 영어 이름입니다. 필요가 있어 사용하고 있긴 합니다. ^^;;;
영어이름은 기본이에요~ㅋ
그런데 아이들이 모두 영어이름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보니 씁쓸한 기분이 들었습니다.
벌써 10여 년 전 일 입니다.
종로 YBM 으로 회화를 배우러 가자 원어민 선생님이 제일 먼저 영어 이름 부터 짓게 했습니다. 우리 이름은 영어로 발음으로 힘들다는 것이 그 이유였습니다. ㅡㅡ;;
우리는 한글을 가르친다고 한글 이름부터 짓게 하지는 않습니다. (한글이름부터 짓게 하시는 선생님들도 계실지도 모르겠네요... 그렇다면 죄송합니다..^^;; )
우리나라에 유학와 있거나 여행, 일 때문에 와 있다고 해서 우리식 이름으로 부르지도 않고, 본토 발음을 최대한 살려 불러주는 풍토입니다. 있는 그대로 존이면 존, 프랑소와면 프랑소와, 발음이 좀 까다로와도 본 이름을 중시하여 불러줍니다. 그런데 많은 영어 선생님들은 으례 자기네 문화에 따라 이름까지 개명시키는 것이 좀 내키지 않았던 것이었습니다.
안타깝게도 이 영어이름으로의 창시개명 분위기는 점차 더 널리 보급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아마도 영어이름을 지어 부르면서 영어를 하노라면 영어에 대한 친밀감을 높이고, 영어의 생활화에 도움이 된다는 생각에 그렇게 하시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영어를 배우거나 쓰려면 이름도 꼭 바꾸어야 한다는 인식을 박아주는 잘못된 방식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글로벌 시대... 영어....
영어이름의 필요성이 어느 정도 있을 때가 있긴 합니다. 그래서 요즘은 부모들이 이름을 지을 때 영어 발음과 중국어 뜻, 발음도 고려하시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글로벌시대에 맞게 따로 영어 이름을 짓지 않아도 전세계에서 쓸 수 있는 이름을 짓는다는 것입니다. 밑 받침을 뺀, 유나, 유리, 소이..... 등의 연음이 되면 영어 발음 비슷한 이름이 인기라고 합니다.
이렇게 가노라면 정훈, 혜영 등 등의 외국어로 발음하기 어려운 이름들은 한국식이름으로 취급받게 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는 무서운 상상을 살짝 해 보게 되었습니다. 끝자가 '자 (子)'로 끝나는 이름이 지금은 일본식 이름으로 취급받는 것처럼 말입니다. 나중엔 제 원래 이름이 한국식이름이라고 불리우는... 우울한 상상이었습니다...ㅜㅜ
영어를 배우려면...
영어를 사용하는 사회에서 살려면...
영어 이름 하나는 이제 정말 필수인 것일까요...?
'생활철학 > 생각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날이 진화하는 스팸메일, 조심하세요! (28) | 2008.12.02 |
---|---|
대한민국은 창시개명중? (21) | 2008.12.01 |
주소가 자주 바뀌세요? 우체국 사서함 이용하세요~ (24) | 2008.11.28 |
'너는 누구다' 라는 단정짓는 말의 위력 (44) | 2008.11.22 |
창시개명이란 말은 틀린 것 같은데... 창씨개명(創氏改名) <--- 요게 맞는 말입니다.
맞아요.. 원래 말은 그것이 맞는데 다른 뉴스나 글에 쓸때 창시개명으로 많이 쓰시더라구요.
아무래도 된발음 때문에 그런것 같습니다.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
영어의 필요성을 간과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울 나라는 너무 그 열기가 뜨거워서 데일 듯 싶습니다. 영어를 가르치기 전에 모국어라도 제대로 가르쳤으면 좋겠더군요.
열기가 너무 뜨거워 데일 것 같다는 말씀이 많이 와 닿네요....
영어교육도 좋고... 영어가 많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지만..
우선 순위는 좀 분명해 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현지에서 일을하다보면 부득이 영어이름을 사용하게 됩니다만,
의아한건, 베트남친구들 대만친구들보면, 자기이름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업무에 불편함없이 사용하더라구요^ㅡ^
그런걸 보면서 저도 그냥 'Oh'라고 불러라 하고 싶지만 ^ㅡ^ㅋㅋ
감탄사연발하는것같아서 참고 있습니다 ^ㅡ^ㅋㅋ
즐거운하루, 행복한 한주, 뜻깊은 마지막달 보내세요^ㅡ^!!
아... 우리나라의 경우 성만 가지고 정체성을 나타내기가 어려워서... 아무래도 영어이름을 더 사용하게 되기도 하나봅니다....ㅜㅜ
음.. 영어이름을 사용하는게.. 음...... 머랄까 좀더 편리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것이라 생각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외국인노동자센터에서 컴퓨터를 가르치고 있는데, 제 이름인 '이상훈'보다는 제 영어이름인 '조이'를 쓰는게 서로 더 편하기 때문에 그렇게 쓰고있답니다. 영어로 자기 소개하다가.. 갑자기 순수 토종 한글발음으로 이상훈,, 이러는것보단.. 조이라고 이야기하면 한결 부드러운 모습, 그리고 수업받는 다양한 나라의 외국인들도 다들 영어식이름을 가지고있으니 저도 그사람들 원래이름보다 부르기 쉽고... 그래서..네..
ㅠㅠ 음 그렇다구요 ㅠㅠ
우리나라 사람들의 발음이 정말 좋은 것 같습니다...
우리는 외국인들의 이상한 발음도 비교적(?) 절 따라하고 불러주는데.. 많은 외국인들은 우리나라 이름도 잘 발음을 못 하는 것을 보면...
한글이 그만큼 우수하다고 생각해야되는 걸까요...^^:;;
흐음.... 정말 생각해보니 그렇네요.
영어 이름이 꼭 필요한건 아닐텐데 ^^
필요할 때도 있겠지만...
영어를 배우기 위해 필수조건은 아닌거 같아서..
좀 갸우뚱 했습니다... ^^;;
창시개명의 창시는 아닌것 같습니다 라라원님..개명만 맞는거 같아요..성은 바꾸지 않더라구요..^^ 딴지아님...^^
우리애들도 두군대 영어학원에 다니는대 다들 이름을 영어로 부르더군요..
사실은 지들도 벼락 좋지는 않은가봐요..집에오면 그냥 영어이름은 잊어버리는듯해요.
한번도 부모앞에서 "난 영어로 누구입니다!" 하고 말한적이 없어요...^^
원어민 선생의 편의를 위해서 영어로 이름을 부를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그게 영어교육에 꼭 필요한건 아닌대???..? 하고 고개를 갸웃할때도 있어요..^^
영어노예시대...인것 같기도 해요..^^ 꼬부랑 글씨하고 담을 쌓고 사는 사람이라 전 별로 그렇게 마음에 와닿지는 않습니다...^^
좋은 지적 입니다...^^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
그러고 보니... 창시는 아니네요...^^;;;
영어이름이 필요할 때가 종종 있긴 한데...
아이들 영어배우는 필수조건처럼 된 것 같은 점이
좀 마음에 들지 않았었어요....^^;;;
움.. 그쵸.. 미수다에 나오는 미녀들도 한국이름이 다 있을까요? - 0 -;;;;
그러고 보니... 그렇네요...
우리는 외국인들의 본 이름을 존중해 주는 좋은 예의가 있는 것 같습니다... ^^
주변에 학원에서 영어강사하는 형이 있는데,
대한민국이 영어에 미쳐있어서 그런지,
대치동이나 목동 등지에서 잘나가는 영어강사는 정말 억소리나게 돈 벌긴 벌더군요.
영어 열심히 해서 영어강사 하면 어떨까..하는 생각이 절로 나더라구요.
저도 영어강사, 영어 과외하는 이웃들을 보면서..
그 생각이 든 적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영어를 중시하는 만큼 그 분들의 몸값이 올라가는 것 같았어요...^^;;;
영어를 배우면 당연히 영어이름을 만드는게 하나의 현상이 되었더라고요.
그래서인지 저희 조카도 영어이름이 있더라는 ^^;;
저는 꿋꿋하게 그냥 임자라고 부릅니다.
촘 못나고 웃긴 이름이지만 정붙여 살아볼라고 사실 더 불러달라고 하지만요^^
피에쑤~ 제가 좀 오랜만에 왔어요...ㅠㅠ
지난주내내 블록을 못하고 뭐했는지...포스팅 다 못읽고 가고 이해해 주세요^^;;
저도 맬맬 오고싶었다고요 흐~엉
임자언니님 성함은 발음하기에 좋은데요~ ^^
요즘 영어이름들을 많이 쓰다보니 더 개성있게 느껴집니다.. ^^
깊게 생각해본 적이 없었는데, 라라님 말씀 듣고 보니까 좀 그렇네요~ 원래 이름과 비슷한 애칭 정도로만 만들어도 괜찮을 것 같은데, 아예 이름을 따로 지어버리니.. -_-; 사대주의가 좀 있어서 그러는 듯해요. ;ㅁ;
이 땅의 수많은 하나코상들을 위해...
뭐, 미국 식민지나 다름없으니 개명이라도 해야겠지요. 영어문화야 원래 성씨나 조상에 대해 일본만큼 집착하지 않으니까
이 하나코 여사, 박 히로사와 군, 정 코지로 군, 최 아케미 양 등등...
대체 뭐가 다른가요. 일제 식민지랑...
강압적이었다는 것만 빼고...
그리고 왜국의 변명을 들어보면 조선인의 이름은 발음하기도 어렵고 결혼후에도 여성이 성이 바뀌는 문화가 아니었기에 국가를 통합 관리하는 차원에서 조선인들에게 창씨개명을 "권고" 했다고 하더군요.
오... 똑같네요. 일제시대나 지금이나